지금 이 순간 의식의 거실에 어떤 자아가 존재하는가?-이은아 > 칼럼

리더십코칭센터

칼럼
칼럼/영상 칼럼

칼럼

5번역량 지금 이 순간 의식의 거실에 어떤 자아가 존재하는가?-이은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2-17 19:20

본문

# 이은아. 신 역량 5. 프레즌스를 유지한다(Maintains Presence).

5-3. 온전히 깨어 고객과 함께 하기 위해 코치 자신의 감정을 관리한다(Manage one’s emotions to stay present with the client)

 

Salovey& Mayer(1990, 1997)는 삶의 과제의 대부분이 감정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해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자신의 감정을 알아차리기를 꼽았다.

자신의 감정을 알아차린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인간의 정신세계를 잘 그려주는 모델인 내면가족시스템(Internal Family System-IFS)에서는 우리 안에 여러 가지의 자아(ego)가 존재하며 우리의 모든 행동 패턴, 사고, 감정반응, 신체 감각은 그 자아가 존재함을 알리는 것이라 보았다.

또한 우리 의식의 중앙에는 참자아(Self)가 자리잡고 있으며 참자아는 우리의 존재의 핵심으로 침착함, 긍휼감, 호기심, 명료함, 자신감, 창의력, 담대함, 관계성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도 하였다. 우리가 이 참자아 상태에 있을 때는 판단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내면 상태에 마음을 쓰고 염려하며 불만을 내려 놓고 우리 전체를 자각하게 된다. 아마도 이 참자아 상태를 좀더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이 코치의 평생 과업인 듯하다.

코치로서 에고를 알아차린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IFS 이론에 기반하여 설명을 한다면 현재 의식의 거실에 누가 있는가를 인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참자아가 의식의 거실을 차지하고 있는가? 혹은 분노의 자아, 비난의 자아, 욕망의 자아 등이 참자아를 가리고 있는가? 아니면 참자아와  다른 자아들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함께 있는가 등을 알아차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에고를 내려놓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에고를 내려놓는다는 것은 참자아가 애정 어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면서, 자극에 의해 의식의 거실을 차지하게 된 자아에 대한 비판, 비난, 저항, 억제 등을 하지 않고 그 자아가 어떤 경험에 의해 그런 감정을 가졌는지, 그 감정은 어떤 경험에 의해, 혹은 생각에서 비롯되었는지, 그리고 무엇이 염려되어 의식의 거실을 장악하게 되었는지, 지금까지 의식의 거실을 장악하면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었는지 등을 경청하고 공감해 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참자아의 관심과 애정은 다른 자아들로 하여금 이해받고 존중받고 있다고 느끼게 하여 지금까지 경험에 의해 고착된 신념, 감정, 행동 등에 의한 그들의 역할을 내려놓게 한다. 이것은 에고가 더 이상 의식의 거실을 장악하지 않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에고를 내려놓을 수 있게 한다.

우리는 고객의 변화와 성장을 위해 경청, 공감, 인정, 질문 등을 한다. 그러나 자신에게는 어떠한가? 타인에게는 관대하지만 자신에게는 야박하리만큼 인색하다. 참자아가 다른 자아들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을 자기 공감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기 공감을 기반으로 다른 자아들과 조화로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코치의 감정을 관리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성찰 질문

1.  지금 이 순간 의식의 거실에 어떤 자아가 존재하는가?

2. 코치로서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3. 코치로서 얼마나 자주 셀프 코칭을 하고 있는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