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과 함께 현존하며 체험한 나만의 새해맞이 ‘오티움’-김경옥 > 칼럼

리더십코칭센터

칼럼
칼럼/영상 칼럼

칼럼

5번역량 고객과 함께 현존하며 체험한 나만의 새해맞이 ‘오티움’-김경옥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2-17 19:21

본문

김경옥 코칭칼럼 28  행복한 나를 만나는 코칭[내생최]교육시간, 오티움

 

코칭핵심역량 5. Maintains Presence(프레즌스를 유지한다.)

Definition: Is fully conscious and present with the client, employing a style that is

open, flexible, grounded and confident.(정의: 개방적이고 유연하며 중심이 잡힌 자신감 있는 태도로 완전히 깨어서 고객과 함께 한다.)

 

1. Remains focused, observant, empathetic and responsive to the client

   (고객에게 집중하고 관찰하며 공감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는 것을 유지한다.)

2. Demonstrates curiosity during the coaching process

   (코칭 과정 내내 호기심을 보여준다.)

 

 2022년 임인년 새해가 어느덧, 첫 달 스무고개를 넘어간다.

새해를 맞이하면서 행복한 꿈을 꾸며 수립한 계획들은초심을 깃발 삼아 정상궤도로 잘 가고 있을까?

 

 달라이 라마(Lama and Cutler, 1998)는 인간존재의 목적은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며, 이는마음 수련’, ‘공유된 인간 정신의 연결성, 측은지심, 관용, 친절을 갖고 행동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하였다. 프레즌스는 우리의 일, 삶과 관계의 모든 측면을 풍성하게 해주는 가능성을 제공해주는 존재의 상태이다.

필자가 코칭이 접목된내 생애 최고의 해[이하, ’내생최라 칭함]’라는 프로파일 작성 워크샵을 접한 후, 어김없이 올해도, 지난해를 되새김질하며 크고 작은 옹기그릇 다루듯이 꿈 하나 하나를 꼴대로 조심스럽게 담아 새해 계획을 엮어보았다. 벌써 7년째, 워크샵 제목이나 컨텐츠는 비슷하지만, 구조상 예년과 꽤 다르다.

 

 숫자 [5], 나의 주변의 주요인물, 공간, 상황(방식, 방법)의 우선순위 5를 변화시켜보는 것이다. 나름대로 생각해보니 그 이유는 변화에 순응, 적응, 수용하여 에너지효율을 높이기 위한 나의 결의의 미덕이 빛을 발한 것이다.

정초에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22 전망인 [트렌드 코리아 2022]의 키워드 [Tiger or cat?]를 통해서 이제껏 우리가 경험해보지 못한 놀라운 삶으로 우리는 빠른 속도로 전환, 변화, 적응하고 있음을 보았다.

 재단에서 매년 1월 초, 팀장급 이상이 손수 작성한 [내생최]프로파일은 52주간 계획서, 12 습관 목록과 한 방향 정렬하여 년 중, 팀별, 부서별, 기본적인 소통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올해는 팀장급 이상 130여 명을 대상으로 늘상 해오던 [내생최] 교육 방식과 방법을 바꿔서 선택권, 교학상장의 권한과 책임, 그리고 혜택도 구상해 보았다.

 의료 복지 분야 현장은 업무 특성상, 다수가 동시에 교육 시간을 내기가 너무 어렵다. 짧은 시간에 성과를 내려니 고육지책이기도 하였지만, 선택권에 묘미가 있었다. 그동안의 경험에 의하면, 선택권은 전문직 종사자들의존중받고 싶어하는 욕구 충족과 동기부여에 도움이 되어왔다.

그 방법은 택일[■스스로 작성, ■ZOOM 주간, ■ZOOM 야간, ■대면 1, ■대면 2]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한 것이다. 3년 이상 근속자는 워크시트를 주고 가능한 한 [■스스로 작성]권유, 2년 미만인 경우는 원하는 방법을 선택하게 한 것이다. 3년 이상 근속팀장이 2년 미만의 새내기 팀장을 도와 워크북을 작성한 후 교육에 참여토록 하여 교육 소요시간을 줄였다. 반면에 ZOOM교육은 다수가 신청하여 잘 마무리하였다.

 예상대로 대면교육은 소그룹에 집중, 자기가 원하는 시간을 선택한 대상에게 열정을 쏟을 수 있어서 성과도 좋았다. 대면교육 1차에 5명이 참여하여 소그룹이 구성되었다. ‘질문합시다로 인사말을 설정하고 2 1조로 짝을 바꿔가며 10개의 질문과 답을 공유하면서 수정과 보완, 느낌도 나누었다. 필자 또한, 부서, 기관이 각각 다른 5명의 한마디 한마디에 집중하면서 온전히 경청, 공감, 적극적으로 반응, 사례나눔을 하였다.

 우리 모두는질문합시다원워드(one word) 만으로도 호기심을 유발하는 코치가 되었다.

  코칭[내생최]교육의 묘미는 계획, 실행, 성과도 중요하지만완성의 선순환즉 인정과 보상, , 실천환경에 있다. 코칭교육을 아직 접하지 못한 신입팀장들이 상호간에 코치의 역할을 하면서 자신이 수립한 계획을 실행할 수밖에 없는 실천환경을 함께 만들어가는 시간이 새로운오티움이 되었다.

 *오티움: 어른의 놀이, 내적 기쁨을 주는 능동적인 여가활동: 봉사, 운동, 공부, 영성 활동 포함 

 

 당신은 어떤 활동을 할 때 영혼의 기쁨을 느끼는가?”

 

 소그룹에서 낯선 짝에게 마음 문을 열고, 낯선 질문이 익숙해지면서 피워내는 웃음꽃, 아하 순간, 숙고하여 빚어낸 정체성 등, 좋은 경험은 우리를 충분히 행복하게 하였다.

 

 [오티움]의 저자, 정신과 의사 문요한에 의하면 행복은 이성 즉, 생각도 태도도 아니고 감정에 있다고 한다. 초점을 정하고 배움과 연습을 더한 체험으로 그 깊이가 더해 간다는 것이다.

 2시간 동안한 가지만 더’, ‘조금 더, 요청을 동반한 질문과 반응으로 10년 후, 5년 후의 꿈을 드러내고 마침내 2022년 자기 지도(me map)를 채색하고 다듬었다. 완성한 후에, 각자의 원워드와을 함께 크게 소리내서 발사해주고이미 그렇게 되셨습니다.”로 격려하였다.

 워크샵을 마치고가슴이 벅차다.” “올해 목표가 선명해졌다.” “무엇을 모르고 있는지도 몰랐는데 많이 알게 되어 기쁘다.” “질문의 힘이 크다는 것을 알았다.” “희망이 보인다.” “내 말을 잘 들어주고 격려해주니 참 좋다.” “내가 나와 친해졌다.”등 소감을 나누며 기뻐하였다.

 불현듯, 나의 정체성 [탁월함을 빛나게 하는 성장 인큐베이터]한편 불러낸다.

 [무심히 지나치는/ 골목길// 두껍고 단단한/ 아스팔트 각질을 비집고/ 솟아오르는/ 새싹의 촉을 본다// 얼랄라/ 저 여리고/ 부드러운 것이// 한 개의 촉 끝에/ 지구를 들어 올리는/ 힘이 숨어있다.] 나태주 시인의 []이라는 시 전문이다.

 

 프로그램을 마치고 나오는 길섶, 나목들 손끝에 내민 조그만 촉들이 아직오티움공간에 머물러있는 내 맘을 흔들며 살며시 잡아당긴다. 어디선가 날아든 희망의 봄기운이 옷깃에 스친다. ()

 

성찰질문1: 고객과 함께 현존하며 체험한 나만의 새해맞이 오티움을 나눠보자.

성찰질문2: 고객과의 현존을 위한 나만의 꾸준한 리츄얼 3은 무엇 인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