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치의 지속적 성찰훈련-이문국 > 칼럼

리더십코칭센터

칼럼
칼럼/영상 칼럼

칼럼

2번역량 코치의 지속적 성찰훈련-이문국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2-17 19:04

본문

#이문국, 신역량2. 코칭마인드셋을 체화한다.

실행지침 3. 코칭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성찰 훈련을 개발한다

 

 마인드셋을 건축물에 비유하면 주춧돌과 같다. 박창규교수의 임파워링코칭에 의하면 코칭마인드셋은 코칭 전제/철학으로서 누구나 특별한 개인이다. 사람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무한한 자원을 가지고 있다. 사람들은 선택을 한다 등 세 가지를 들고 있다.

 

마인드셋에 기반한 스킬셋과 툴셋이 장착될 때 코치로서 자기답게 살고 고객을 자기답게 살게 이끌 수 있다. 코치로서 마인드셋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성찰 훈련을 통해 나의 마음상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지속적인 나의 마음 상태가 마인드셋으로 연결된다고 생각한다.

 

먼저 마음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존재와 마음 상태는 구분해야한다. 상태는 언제나 변할 수 있는 현상이며 존재는 본질이다. 문제는 상태를 어떻게 바꾸느냐의 문제이다. 상태를 바꾸기 위해서는 전제가 알아차림이 필요하다. 단다파니에 의하면 알아차림과 마음은 구별하여야 한다고 한다. 알아차림은 빛이 나는 둥근 구술과 같다. 마음은 수많은 방이 있는 호텔과 같다. 알아차림이라는 구술이 비추는 곳이 우리의 마음상태이다. 알아차림이 없을 때는 존재의 빛이 습이나 충동에 의해 끌려가다보니 자신의 마음이 마음상태와 일치되어버린다.

 

그러면 나의 마음 상태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자신의 마음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알아차림이 우선이고 그 다음에 알아차림을 통한 마음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마음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주로 하는 질문이 “What is on your mind?”이다. 지금 당신의 마음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순간순간 이런 질문을 통해서 지금 나의 생각의 내용을 점검하면서 나의 마음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말은 사랑, 평화를 찾지만 하루에 3번 휴대폰 알람을 통해 정기적으로 이런 질문을 나 자신에게 던지면 돈, 인정, 안전 등 전혀 다른 생각을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이것이 바로 나의 마음 상태의 현주소이다.

 

 나의 코칭마인드셋은 체화되었는가? 질문에도 무의식적인 기습질문을 통해 마음의 상태를 점검해보면 아직 코칭마인드셋이 체화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음의 상태는 현상으로 바꾸기 위해 실행지침3에서처럼 코치로서 코칭을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성찰 훈련을 개발하는 수밖에 없다.

 

지속적인 성찰 훈련을 하기 위한 나만의 3가지 질문을 공유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나의 정동적 느낌이 세상을  바라보는 렌즈가 되도록 놔줄 것인가?’ 정동이란 평소에 내가 느끼는 나의 느낌이다. 감정과는 구별해야 한다. 감정은 느낌을 의미부여해서 해석한 생각에 대한 신체의 반응이다. 정동실재론에 의하면 내가 믿는대로 느끼고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나의 신체감각에 집중해서 그것이 단순한 신체적 불편함(고통)에 불과한 것을 정신적 해석을 통해 괴로움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질문은 생각이 올라올 때이 생각이 과연 사실인가?’

세 번째 질문은 ‘What is on your mind?’ 이를 통해서 마음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성찰질문

1. 코치로서 여러분의 성찰 훈련 비법은 무엇입니까?

2. What is on your min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