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치의 감정조절 전략-이은아 > 칼럼

리더십코칭센터

칼럼
칼럼/영상 칼럼

칼럼

2번역량 코치의 감정조절 전략-이은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2-17 19:09

본문

# 이은아. 신 역량 2. 코칭 마인드셋을 체화한다(Embodies a Coaching Mindset). 

2-6. 감정 조절 능력을 개발하고 유지한다(Develops and maintains the ability to regulate one’s emotions).

 

감정 조절은 어떤 감정을 언제 어떻게 표현하고 경험할 것인가에 영향을 주는데 사용하는 절차이며(Gross, 1998), 감정조절전략은 감정조절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일컫는 말이다. 코치로서 감정조절전략이 필요한 때가 있다. 고객의 저항을 느꼈을 때, 코치로서 코칭 후 역량이 부족하다고 자책을 하며 좌절감을 느꼈을 때, 코치의 내면에 해결되지 않은 심리적 이슈가 있을 때 등 다양한 상황들이 코치를 감정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하여 고객과 코치 상호 간의 전이, 역전이 등을 경험하게 한다. 그렇다면 코치는 어떤 감정조절전략을 세워야 하는 것일까?

 

고객에게 저항감이 느껴졌을 때를 생각해 보자. 코치가 고객이 뭔가 내면에 이슈를 꺼내 놓지 않고 코치를 밀어낸다는 생각을 무의식적으로 느끼게 되었을 때, 코칭 종료 후 코치들은 자신의 코칭 경험에 따라 성찰의 내용이 달라짐을 발견하게 된다. 처음에는고객이 마음의 문을 열지 않아!’라고 하며 고객 탓을 하게 되지만 녹취된 파일과 축어록을 작성하며 점차 성숙의 시간을 갖게 되면서 고객이 아닌 자신 안에 무의식적으로 작동하는 가정, 신념 등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자신의 에고를 알아차리게 되는 것이다. 이 에고는 코칭 세션 중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다.

 

코칭 세션 초입에 에고가 작용할 때를 생각해 보면, 코치는 고객의 목소리 톤, 표정, 에너지 등 첫인상에서 영향을 받는 듯하다. 코치가 고객의 다소 저항적인 눈빛, 말투, 에너지 등에 직면하게 되면 코치는 내면에 불안과 염려가 올라올 수 있다. 그 감정은 고객을 평가하고 판단하게 하여 코치로 하여금 임팩트 있는 질문을 찾는 등의 애를 쓰는 행동을 무의식적, 의식적으로 하게 한다.

 

그런데 코치의 그 감정은 어디서부터 비롯되었을까? 그것은 코치의 생각에서 비롯된다. ‘이 고객 좀 힘들겠는데?’ 이러한 무의식적 생각은 코치로 하여금 고객이 마음의 문을 열지 않고 자신을 가두는 사람으로 판단하여 고객이 자신의 내면을 바라보게 하는 다양한 질문을 여유 없이 던지도록 한다.

 

코치는 이런 경우 감정을 조절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해야 할까? 감정조절전략에는 6가지 구분 기준에 따라 범주를 구분하고 있다. 첫째, 조절 수단에 따라 인지적 수준과 행동적 수준에서 개입하는 전략 둘째, 전략적 의도로 문제를 회피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전략(전환전략<철회, 회피, 주의 분산 등>, 개입 전략<문제해결, 재평가 등>) 셋째, 활동의 대체 여부에 따라 전환 전략 중 단순히 회피하는 것(웃기, 괜찮다고 말하기 등의 인지적 전략,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기, 괜찮다고 스스로 말하기와 같은 인지적 전략)과 다른 적극적 주의를 주는 전략(담배, 음주, 명상, 운동 등과 같은 행동적 전략) 넷째, 전환 전략 중 다른 활동으로 대처하는 전략은 그 대체된 활동 내용에 따라 적극적 활동(데이트, 운동, 일에 몰입 등)과 유쾌한 활동(호흡, 수면, 명상 등) 다섯째, 개입 전략은 직면(재개념화 등의 인지적 전략과 공감, 조언 구하기 등의 행동적 전략이 있음)과 수용(기분 이해하기, 상황 받아들이기와 재평가 등의 인지적 전략과 소리 지르기 울기와 같은 발산 등의 행동 전략이 있음)(Totterdell & Parkinson, 1999; 하영명, 2019) 마지막으로 여섯째는 행동적, 인지적 전략과 체험적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Young(2003)는 심상 기법과 역할 연기를 대표적 체험적 전략으로 제안했다.

 

Hawkins & smith(2013)는 코칭, 멘토링, 컨설팅에 대한 슈퍼비전 저서에서 진정한 변화를 위해서는 메지로우가 말한의미체계(삶의 어떤 상황에서 반사적인 감정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특정한 믿음, 태도, 가정을 말함)’를 전환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것은 전환 전략 중 인지적 전략에 해당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코치로서 감정조절 능력을 개발하는 방법 중 하나는 현재의 행동, 감정, 사고 등의 패턴을 알아차리는 심상 시각화에 기반한 셀프 코칭을 통한 인지적 전략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성찰 질문

- 감정조절전략 중 현재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전략은

무엇인가?

- 알아차림을 위한 셀프 코칭에 얼마나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