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의 정체성, 환경, 경험, 가치 및 신념 대하기-박혜숙 > 칼럼

리더십코칭센터

칼럼
칼럼/영상 칼럼

칼럼

1번역량 고객의 정체성, 환경, 경험, 가치 및 신념 대하기-박혜숙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2-17 19:00

본문

#박혜숙, 핵심역량 1-2, 4-1, 4-2, 6-1 고객의 정체성, 환경, 경험, 가치 및 신념

 

사람들은 모두 환경에 영향을 받기에 같은 일을 꺾어도 모두 다르게 반응하며 다른 경험을 한다. 또한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한 행동을 선택할 때에도 그에 따른 감정(열정)안에서 정체성, 신념과 가치에 따라 행동을 선택한다. 그러므로 개인마다 자기만의 고유하고 독특한 특성(정체성, 환경, 경험, 가치, 신념, 스타일, 사용 언어 등)이 무엇인지 충분히 이해하고 인식되어야 한다.

 

ICF 코칭 핵심역량에서는 고객의 정체성, 환경, 경험, 가치 및 신념에 대해 아래와 같이 여러 번 강조한다. 그러나 고객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나, 경험, 고객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신념, 고객이 자신을 어떤 사람이라 정의하는 정체성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므로 역량 4-1, 4-2에서는 고객의 맥락 안에서 고객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고객에 맞추어 코칭하라 하고, 6-1에서는 높은 수준의 경청을 요구하며, 1-2에서는 고객을 민감하게 대하며 윤리적 실천을 보여주며 코칭을 하라고 강조한다.

 

역량1, 윤리적 실천을 보여준다.

1-2. Is sensitive to clients’ identity, environment, experiences, values and beliefs

      고객의 정체성, 환경, 경험, 가치 및 신념을 민감하게 대한다.

 

역량 4. Cultivates Trust and Safety. 신뢰와 안전감을 조성한다.

4-1. Seeks to understand the client within their context which may include their identity, environment, experiences, values and beliefs

고객의 정체성, 환경, 경험, 가치 및 신념 등의 맥락 안에서 고객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4-2. Demonstrates respect for the client’s identity, perceptions, style and language and adapts one’s coaching to the client

고객의 정체성, 인식, 스타일 및 언어를 존중하고 고객에 맞추어 코칭 한다.

 

역량6. 적극적으로 경청한다.

6-1. Considers the client’s context, identity, environment, experiences, values and belief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what the client is communicating

고객이 전달하고자 하는 것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고객의 상황, 정체성, 환경, 경험, 가치 및 신념 등을 고려하면서 듣는다.

 

 

, 코치와 다른 환경, 교육, 경험, 정보, 문화를 가지고 자기만의 정체성, 가치관과 신념으로 살아가는 고객을 온전히 긍정적인 마음으로 섬세하고 민감하게 대하며, 고객만의 독특하고 고유한 특성을 알고 존중하며 그 맥락 안에서 코칭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객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대해 경험주의, 실용주의 철학자였던 존 듀이(John Dewy)도 의견을 같이 한다. 존 듀이는 인간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유기체라는 점을 주장하며, 모든 유기체는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존재한다라고 '경험으로서의 예술, 1934’에서 반복적으로 주장한다.

 

우리가 무엇인가 경험한다는 것은 사람이 환경과 만나는 것이고, 다른 사람과 만나서 상호작용하는 과정이다. 즉 한 사람의 존재가 어떤 관계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지 그 사람이 주체와 대상이 따로 떨어져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구성요소와 부단한 상호작용을 하면서 존재하기에 하나로 연결되어 있을 때 우린 그것을 상황이라고 한다. 

 

존 듀이는 인간과 자연이 따로 떨어져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전통적인 이원론을 부정하며, 모든 유기체는 독립적으로 환경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경험이 계속 개조되는 과정이 인간의 생산과정이며, 이것이 곧 발전하는 상황이자 성장이라고 한다. 식물을 예로 들어 보면, 해바라기가 태양과 토양 속에 있을 때 비로소 존재가치가 드러난다는 것이다. 해바라기가 햇빛을 받고 땅에서 영양분을 흡수하는 상황에서 서로 의존하고 의지하는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면서 경험하는 존재인 것이다.

 

코칭과정도 그런 과정이고 관계인 것이다. 그동안 오랜 기간 쌓아온 이전의 모든 경험과 체험적 훈련의 결과로 느껴지는 상황을 언어를 동원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특정 상황과 직면했을 때 상황의 질적 특성을 한 순간에 직감적으로 몸으로 느끼며 파악하는 총체적 사고이며 감각적 깨달음이다. '와우!' '이크!‘ 와 같은 감탄사처럼~

 

존 듀이는 경험을 크게 두 가지로 수동적 경험(일차적 경험)  능동적 경험(이차적 경험)으로 나눈다.  수동적 경험은 나의 의지와 관계없이 당하는 경험(Undergoing) 이다.  이에 반해 능동적 경험은 나의 의지와 의도대로 경험(trying)하는 것으로 경험의 주체자가 적극적으로 몸으로 부딪치면서 세상과 상호작용하며, 바라는 변화를 얻기 위하여 조치를 취하는 과정에서 배우는 경험이다.  즉 수동적으로 당했던 경험이 나의 능동적 사고로 다시 경험을 반추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경험이 이차적 경험, 능동적 경험인 것이다.

 

코치는 코칭 과정에서 수동적 경험과 능동적 경험의 조합, 몸과 마음, 정신과 영혼의 유기적 결합 과정인 정체성, 신념, 가치를 민감하게, 고객의 맥락 안에서 경청하고 윤리적 실천을 보여주어야 한다. 오감이 열린 몸으로 경험한 일차적 경험에 몸으로 겪은 경험의 의미를 머리로 생각하며, 구체적인 상황에서 겪은 독특한 가치를 추상화시켜 보편적인 법칙이나 원리로 만들어 가는 이차적 경험을 통해 능동적 경험인 성찰을 경험을 하는 것이다.

 

코칭은 고객이 코치와 상호작용하는 공간적 경험이 자신의 삶인 시간적 경험으로 이어지는 과정이다, 즉 코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고객의 경험이 과거, 현재, 미래로 이어져 시간적 경험으로 계속되며 시공간적으로 발생하는 경험을 재구성하여 변화하고 성장하며 자신의 삶을 완성해 나아가는 것이다.

 

#성찰

1. 코치의 역할을 하는 나의 정체성, 가치, 신념은 무엇인가요?

2. 코칭 과정 중 고객의 정체성, 가치, 신념 등을 어떻게 알고, 그 맥락안에서 돕고 있나요?

3. 클라이언트의 수동적 경험과 능동적 경험을 어떻게 재구성하여 성장하도록 돕고 있나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