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코칭 핵심역량과 개인코칭 핵심역량의차이-권경숙 > 칼럼

리더십코칭센터

칼럼
칼럼/영상 칼럼

칼럼

1번역량 팀코칭 핵심역량과 개인코칭 핵심역량의차이-권경숙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2-17 18:59

본문

ICF 팀 코칭 핵심역량1. 윤리적 실천을 보여준다.           

Demonstrates Ethical Practice

 

2020 ICF는 예전과 달리 팀 코칭 핵심역량을 새롭게 발표했습니다. 팀 코칭 핵심역량은 코칭핵심 역량을 기본으로 팀 코칭에 필요한 역량들이 새롭게 추가한 건데요, 어떤 항목들이 어떤 이유로 추가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오늘은 역량 1. ‘윤리적 실천을 보여준다의 항목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팀 코칭 역량을 처음 분석하다 보니 글이 좀 딱딱합니다. 약간의 인내심을 갖고 읽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코칭 핵심역량 1번은코칭의 윤리와 기준을 이해하고 지속적으로 적용한다의 정의처럼 코치로서의 직업윤리, 코치다움에 대한 세부 항목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팀 코칭 핵심역량에서는 5가지 항목이 추가되었는데요, 팀 코치로서의 직업윤리는 무엇인지, 팀 코치다움은 무엇인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코칭핵심역량 1번의 실행지침>

1.고객, 스폰서 및 이해 관계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코치의 진실성과 정직성을 보여준다.

2.고객의 정체성, 환경, 경험, 가치 및 신념에 민감하게 대한다.

3.고객, 스폰서 및 이해 관계자에게 적절하고, 존중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4.ICF 윤리 강령을 준수하고 핵심 가치를 지지한다.

5.이해 관계자 합의 및 관련 법률에 따라 고객 정보에 대해 비밀을 유지한다.

6.코칭, 컨설팅, 심리치료 및 다른 지원 전문직과의 차별성을 유지한다.

7.필요한 경우, 고객을 다른 지원 전문가에게 추천한다.

 

<추가된 팀 코칭핵심역량 1번의 실행지침>

1. 고객인 팀을 단일 개체로 코칭한다.     

2. 팀 코칭, 팀 빌딩, 팀 교육, 팀 컨설팅, 팀 멘토링, 팀 퍼실리테이션 및 기타 팀 개발 방식 간의 구분을 유지한다.           

3. 제공되는 팀 개발 양식의 특정 조합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보여준다.         

4. 팀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필요할 때만 더 지시적인 팀 개발 방식을 채택한다.        

5. 팀 코칭과 관련된 여러 역할을 수행할 때 신뢰, 투명성 및 명확성을 유지한다.

 

저는 이 추가된 항목들을 한 마디로 정리하면팀코치로서 추가적인 지식과 도구를 갖춰야 할 필요성에 대한 것들을 이야기하는 게 아닐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실행지침 2번에서 팀 코칭, 팀 빌딩, 팀 교육, 팀 컨설팅, 팀 멘토링, 팀 퍼실리테이션 및 기타 팀 개발 방식 간의 구분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다른 전문가들과 협력해야 한다고 하는 한편, 실행지침 3번에서 이러한 팀 개발 양식의 특정 조합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보여 줄 수 있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 두 항목을 보면서필요하면 외부 전문가와 협력해야 하지만, 그보다는 팀코치가 자유롭게 다양한 팀개발 방식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로 해석이 됩니다. 실행지침 3번의 세부 내용을 보면 팀 코치는 팀 코칭 활동의 일부로 제공하는 모든 팀 개발 방식을 능숙하게 실행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숙련되어 있어야 한다고 밝히고 있거든요.

<Systemic Team Coaching>라는 책의 저자인 Leary-Joyce, J., & Lines, H.팀코치는 지식, 기술, 경험 뿐만 아니라 강력한 이론적 프레임웍(theoretical framework)을 가져야 한다.’고 하면서 이러한 것들이팀코치의 권위를 올려주고, 팀코치의 권위는 팀이 코치를 신뢰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여러 사람을 단일개체로 상대해야 하는 팀 코칭이 일대일 코칭보다 난이도가 높다 보니, 참가자들의 신뢰를 확보하고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론적 프레임웍을 통해 안전하고 통제된 공간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또한 실행지침 4번을 보면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할 때 더 지시적인 팀 개발 방식을 채택해야 하며, 개인코칭 보다 지시적이어야 할 때가 많다고 밝히고 있는데, Hauser's (2014)의 팀코칭 모델을 보면 팀코치는 팀의 상황에 따라 팀코치의 역할이 Advisor(조언자)-Educator(교육자)-Catalyzer(촉진자)-Assimilator(동화자)로 바뀌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Advisor(조언자) Educator(교육자)의 단계에서는 지시적 역할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 팀의 상황에 맞게 팀 코치가 유연하게 지시적 역할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지요.

 

지금까지 이야기한 내용을 토대로 1번 팀코칭 핵심역량을 종합하면코치는 코치다움을 기본으로, 팀 코치다움을 위해 추가적인 지식과 도구를 갖춰야 한다.’로 정리가 됩니다. 이 역량에 대한 저의 해석에 코치님들의 다양한 의견을 보태주셨으면 합니다.

 

-팀코칭 핵심역량 1번을 한 마디로 정리한다면 코치님들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팀코칭이나 그룹코칭을 진행하시는 코치님들께서는 다양한 팀개발 방식들 중에서 어떤 분야를 얼마나 활용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팀개발 방식: 팀빌딩, 팀 교육, 팀 컨설팅, 팀 멘토링, 팀 퍼실리테이션, 팀 코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