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번역량 코칭 대화시 사용한 은유와 비유의 사례-박혜숙
페이지 정보

본문
#박혜숙, 역량 7. Evokes Awareness. 알아차림 불러일으키기.
정의: 강력한 질문, 침묵, 은유, 또는 비유와 같은 도구와 기술을 사용하여 고객의 통찰과 학습을 가능하거나 용이하게 한다.
Facilitates client insight and learning by using tools and techniques such as powerful questioning, silence, metaphor or analogy.
역량 7은 구 역량에서는 네 번째 그룹 ‘학습과 결과 촉진하기(Facilitating learning and results)’에 속해 있었으나
신 역량에서 세 번째 그룹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기’에 속해 있다. 또한 구 역량 자각 인식하기(creating awareness)에서
신 역량 알아차림을 불러일으킨다(Evokes Awareness)로 변경되었다. 이 점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고객의 변화를 위한 통찰과 학습에 중요한 역량으로
코치로서 해야 할 일과 사용할 도구와 기술들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표현 헸다.
사람들은 자신의 환경과 상황에 따라 세상을 경험하고 인식할 때 삭제, 왜곡, 일반화라는 경향을 보인다.
이럴 때 코치는 질문을 통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의 틀과 구조를 스스로 변화시켜나가는 메타 메타모델을 사용하기도 하고,
메타모델의 반대에 해당하는 것으로 어떤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모호하고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밀턴 모델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포괄적이면서도 임의적인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마중물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코칭 대화에서 고객의 ‘알아차림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코치가 사용하는 도구는 언어이므로 코치가 사용하는 언어는 매우 중요하다.
본 칼럼에서는 그 중에서 은유와 비유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은유와 비유는 코칭의 과정에서 고객이 내면을 탐색하고 새로운 공간에서 관점과 시점, 시각을 갖도록 돕는 유용한 도구이다.
은유와 비유를 통해 고객은 내면에서 일어나고 있는 심리적 역동성(감정의 변화, 생각의 변화, 불일치 등)과
잠재력, 가능성들을 알아차리고 영감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은유metaphor는 표현하려는 대상을 ‘A는 B이다’라는 형식으로 “자녀는 부모의 거울이다.” 라고 표현 한다.
이때 A와 B 사이에 어떤 연관성과 유사성이 있는지 유추해야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으며,
이때 고객은 ‘아하!’ ‘이크’ 등의 알아차림과 통찰을 얻게 된다.
비유analogy는 어떤 대상을 다른 유사한 대상에 직접 빗대어 ‘A는 B와 같다’라는 형식으로 “자녀는 부모의 거울과 같다.”라고 표현한다.
이때 A와 B사이의 유사성을 ‘~와 같이’, ‘~처럼’, ‘~하듯이’ 와 같이 직접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유추하기가 수월하다.
은유는 사고의 자연스런 걸음걸이로 정치, 경제, 철학, 회화, 영화, 미술, 음악 등 우리의 삶속에서 사용되며 명작들은 은유적 표현을 즐겨 쓰고 있다.
우리 인간은 모두 별빛을 쏟아냈던 별 가루로 만들어진 단일 종족이다. “ 코스모스의 저자 칼 세이건 의 이야기다.
빵 한 조작을 훔친 죄로 19년을 감옥 생활을 한 주인공 장발장을 통해 프랑스대혁명 후 피폐해진 시민 삶의 문제점을 은유적으로 세상에 알린
빅토르 위고Victor Hugo의 ‘레미제바블 Les Miserabes’ 도 19세기 문학에서 대중적인 성공을 거둔 작품으로 프랑스의 낭만주의를 글로 표현한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은유적 표현을 통해 독자들에게 궁금증을 유발시키고, 상상의 나래를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한 황순원 작가의 ‘소나기’도 은유적 묘사이다.
이처럼 은유적 표현은 우리 삶의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이 가진 창조성의 근원은 ‘메타포Metaphor이다.’라고 했다.
은유는 전혀 연결점이 없을 듯 한 두 개의 꼭짓점을 하나의 꼭짓점에서 또 다른 꼭짓점으로 연결 지어 기묘한 발상의 전환으로 표현한다.
이때 깊은 사색을 통해 감동은 배가 되고 발현되는 영혼의 생명력은 영원히 유지되는 것이다.
코칭 과정에서도 은유나 비유를 사용해 고객이 자신의 상태를 표현하게 하거나 코치가 표현하게 되면
풍부한 상상력과 함께 서로 다른 사물의 차이점과 유사성을 알고 연결하여 새로운 상황으로의 전환을 이루게 된다.
[코칭 대화 시 사용한 은유와 비유의 사례]
상황1)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등교하지 않는 자녀 양육과 부서 이동으로 인해 일과 가정의 양립을 고민하는 고객
코치: 지금 고객님의 상황을 표현한다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세요?
고객: ‘폭풍 전야’라고 할까요?
상황2)부서원 모두 열심히 일하는 것 같은데, 성과가 나지 않아 고민하는 팀장
코치: 팀장님! 지금 자신의 모습을 은유로 표현한다면 어떤 이미지일까요?
팀장: 코치님의 질문을 받으니 고은 시인이 쓴 ‘노를 젓다가’ 시가 떠오르네요.
코치: 그건 어떤 의미죠?
고객: “노를 젓다가 노를 놓쳤다네!" 내가 지금 그 상태네요.
상황3) 2021년 목표 초과달성으로 성과급을 지급한 대표님과의 코칭대화
코치: 축하드립니다. 무엇이 그것을 가능하게 했나요?
고객: 2년간 지속해온 드러내기와 코칭 문화가 정착되어 올해 열매를 맺은 것 같아요.
(중략)
코치: 올해 연말에도 목표를 다 이루어내신 모습을 표현한다면,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고객: 비갠 뒤 햇살과 함께 떠오른 ‘쌍무지개’가 떠오르네요.
코치: ‘햇살과 쌍무지개’~ 그게 어떤 의미죠?
고객: 지금 코로나로 국민 모두가 어려운 환경이지만,~~(생략)
“우리 인류 조상의 뿌리는 미세한 우주의 먼지 같은 힉스원자다.” 이 말은 먼지가 수억 겁 의 조합에 조합을 통해서 만들어진
단일 種이므로 서로 반목하거나 지구를 망가뜨리지 말고 협력하라는 철학적 메시지가 담긴 은유적 표현이다.
‘하수는 직접적인 표현을 즐기고, 고수는 은유와 비유를 넘나든다.’는 표현도 있다. 그러나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도 있다.
비유와 은유는 언제나 사람에 대한 사랑과 믿음 그리고 존중으로 그 사람의 자원을 활성화시키고 능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방향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잠시 멈추어 고요한 침묵 속에서 자신의 안부를 살피며, 의식과 무의식의 생각과 감정 의미와 욕구들을 탐색하고
새로운 자각을 통해 스스로 알아차림을 불러일으켜 보는 건 어떨까?
#성찰
Q. 지금-여기 자신의 모습을 은유나 비유로 표현한다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세요?
Q. 지금 곁에 있는 분들에게 은유로 SEA한다면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 다음글고객의 신체 또는 감정, 욕구 등 알아차리기-이은아 25.02.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