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번역량 고객의 신체 또는 감정, 욕구 등 알아차리기-이은아
페이지 정보

본문
# 이은아. 신 역량 7. 알아차림 불러일으킨다(Evokes Awareness).
7-4. 고객이 현재의 생각을 넘어서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질문을 한다(Asks questions that help the client explore beyond current thinking).
코치는 고객의 알아차림과 통찰을 통한 변화와 성장을 돕는다. 이 과정에서 코치는 두 가지 작업을 동시에 진행한다. 한 가지는 고객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고객을 존재로서 이해하는 작업이고 다른 하나는 이야기 밖으로 나와서 관찰하는 작업이다.
게슈탈트 치료에서는 전자를 내용(content), 후자를 프로세스(process)로 설명하며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프로세스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이야기 속의 내담자에게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들(감정, 욕구, 신체감각, 행동)의 흐름이고(과거 프로세스) 다른 하나는 이야기를 하는 과정에서 내담자에게 일어나는 현상이나 혹은 내담자와 치료자 사이에 일어나는 현상(현재 프로세스)들을 말한다. 예를 들자면 과거 프로세스는 내담자가 과거에 수치스러웠던 사건을 떠올리며 수치스러움, 분노 감정을 느끼거나 혹은 그 사건이 있고 난 다음 “그때 그 이야기를 했어야 했어! 바보처럼 아무 말도 하지 못했어!” 라고 생각하는 것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프로세스는 이야기를 하는 지금 이 순간에 일어나는 내담자의 생각이나 감정, 표정 혹은 신체자세, 행동 등을 말하는 것으로, 이야기를 하면서 “치료자가 나를 비난할지도 몰라!” 라는 생각을 하거나, 얼굴이 붉어지거나, 수치스러워하는 표정을 짓거나, 말하면서 천장을 쳐다보거나 분노로 목소리가 격양되며 주먹을 불끈 쥐는 행동 등을 말한다(김정규, 2021).
코칭에서도 이와 유사한 프로세스가 적용된다. 코치가 질문한다. "과거에 이와 유사한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셨을까요?" 이러한 질문은 고객의 행동 패턴, 생각 패턴 등을 알아차리도록 하는 질문 중 하나다. 코치는 고객이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할 수 있도록, 어떤 감정을 느꼈고 어떤 생각을 했는지, 대응 행동을 왜 그렇게 했는지 등을 탐색하는 질문 등을 한다. 이것이 바로 과거 프로세스를 살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다음 코치가 해야 할 것은 바로 현재 프로세스를 탐색하는 것이다. 현재 프로세스에서 코치는 고객이 이야기를 하는 과정에서 어떤 생각, 어떤 감정, 어떤 이미지를 떠올리고 신체 반응과 자세는 어떻게 변화했는지, 코치와 고객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등을 예리하게 관찰해야 하고 반드시 그것에 대한 반영과 피드백을 해야 한다.
특히 고객의 신체에 대한 코치의 알아차림은 고객의 욕구와 감정을 자각하고 표현하는 것을 도와주는데 그것은 신체가 욕구나 감정을 쉽게 차단하거나 회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슬픈 이야기를 담담하게 하는 고객이 말을 하며 침을 힘겹게 삼키는 모습을 보며 코치가 “지금 침을 삼키는 모습이 뭔가 누르고 있는 듯 보이는데 지금 느낌은 어떠세요?“ 라는 질문으로 고객의 현재 프로세스를 드러나게 한다. 이 질문에 고객은 답한다. “예전에 상담을 받은 적이 있었어요. 그때 모든 것이 다 해결된 줄 알았는데… 지금 다시 그 감정이 올라와 너무 당황스럽고 혼란스러워요.”
이처럼 코칭 세션에서 코치가 고객에게 나타나는 현상들을 민감하게 감지하고 반영해 주는 것은 고객으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을 더욱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조명하게 하여 고객을 현재의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질문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성찰 질문
- 코치와 고객 사이에 일어나는 현상들에 대한 알아차림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치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
- 코치로서 고객의 신체 혹은 감정, 욕구 등의 알아차림이 있었음에도 그것에 대해 반영이나 피드백을 고객에게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는가? 있다면 어떤 이유로 그렇게 행동했는가?
- 이전글코칭 대화시 사용한 은유와 비유의 사례-박혜숙 25.02.17
- 다음글강력한 질문, 침묵, 은유, 비유와 같은 도구 활용에 대해-장미화 25.02.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