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번역량 성장을 위한 고객의 행동 변화 단계-장미화
페이지 정보

본문
# 장미화_ 심리학과 코칭 핵심 역량
역량 8번. 고객의 성장을 촉진한다.
(정의 : 고객이 학습과 통찰을 행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 코칭 과정에서 고객의 자율성을 촉진한다. Partners with the client to transform learning and insight into action. Promotes client autonomy in the coaching process)
역량8번의 핵심내용과 실행지침들을 보면 크게 학습한 것을 행동으로 옮기고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지지하며, 축하와 종료를 통해 고객의 코칭 변화과정을 촉진하고 유지해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번 컬럼에서는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고객의 학습과 통찰이 행동으로 전환되는 변화는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일까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인간은 자기를 유지하려는 경향과 동시에 성장 잠재력을 실현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그런 고객들의 자기 실현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자신의 선택과 다짐을 행동으로 구현하는 과정과 그 결과를 성장으로 연결시키는 코치의 헌신적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코칭에서 성장을 촉진하는 과정은 단순히 목표를 향해 계획들을 세우고 다짐하는 것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고객이 현재 당면한 문제, 달성해야 할 목표는 물론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 더 성장하고 싶은 욕구를 이해하는 고객의 전인적 성장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코칭핵심역량 : 박창규 외) 그러기 위해서는 고객의 학습과 성찰이 어떻게 행동 변화로 연결되는 것인가에 대한 이면에 과정들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성장을 향한 변화의 과정은 단편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Prochaska & Declementa의 ‘초이론적 변화 단계 모델’(TTM : The Transtheoretical Model)은 행동의 변화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거치며, 또한 이를 위해 개인이 여러가지 특수한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는 자의적 인간행동의 변화를 핵심개념으로 한다. TTM 모델은 변화하려는 동기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부터 시작해서 변화가 일어나고 유지되기까지의 전체 과정을 다루며 연속선 상에서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러한 개인의 행동변화 단계를 무관심, 관심, 준비, 실행, 유지 단계로 제시하였다.
1) 무관심 단계(Precontemplation Stage)
: 고객이 행동 변화 의지가 전혀 없는 단계로 행동변화 필요성을 못느끼거나 왜 변화해야 하는지 알지 못하며, 변화에 대한 이야기 하기를 거부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코칭에서처럼 코칭을 받고 싶어 온 사람들에게 시도했던 방법을 적용해서는 효과를 보기 어렵다.
2) 관심단계(Contemplation Stage)
: 자신에게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고 행동변화 필요성을 조금 느끼며, 그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진지하게 생각해 보기 시작하지만, 아직 확신하지 못하여 결심하거나 약속하지 못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고객들은 변화를 해야하나 말아야 하나 양가감정을 경험하게 되며, 사람들은 오랫동안 이 단계에 머물러 있을 수 있다.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도 원하는 상태가 되길 바라는 ‘소망적 사고’가 있으며, 변화하고 싶지만 아직 준비가 안됐다고 하기에 ‘자기재평가’를 통해 진지하게 고려해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단계이다.
3) 준비단계 (Preparation Stage)
: 행동변화 필요성을 확신하고 변화를 위해 몰입하는 단계이다.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 더 이상 망설이지 않고 변화를 이루어 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전념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 고객은 행동변화를 위한 목표와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변화에 필요한 조정들을 하게 된다.
4) 실행단계 (Action Stage)
: 준비단계에서 자신이 하겠다고 한 계획들을 실제 실행하는 단계로 가장 명확히 드러나는 행동변화를 수반하고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실제 목표 행동의 수정들이 일어나고, 전단계로 돌아가는 경우도 많다.
5) 유지단계 (Maintenance Stage)
: 변화행동을 실행 한 후 오랫동안 변화 행동이 유지되도록 노력하는 단계이다. 변화에 반대되는 충동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거나, 일어나더라도 이겨낼 수 있는 에너지가 있다. 행동변화를 안정화시켜 재발을 방지하고 행동 중 유익한 것들을 통합해가는 것이 중요하다.
Prochaska 등의 행동변화모델이 코칭에서 갖는 의미는 고객의 행동변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어떤 단계에 있는지 파악을 통해 각 단계에 맞는 효과적인 기법들을 활용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행동변화는 연속선 상의 변화들이지만 재발과 재순환이 반복될 수 있는 나선형 패턴을 보인다. 이런 측면에서 코칭 행동 실행들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것은 코칭행동의 실패가 아니며 행동변화 과정을 거치고 있는 것이라 본다. 또한, 사람들의 행동변화와 성장은 갑자기 기적처럼 일어나는 것이 아니며 행동변화로 보여지기 이전에 변화의 여러 단계 어딘가에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표면적으로 행동의 변화가 없는 것에 대해 코칭이 효과가 있었을까에 대한 이의 제기에 대해선 생각의 차이가 존재한다)
사람의 행동변화는 복잡한 것이어서 목표와 실행계획이 세워지면 실제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기대 한다거나, 변화동기 단계를 코칭 진행 과정에 매칭하듯 적용하려는 생각은 지양해야 한다. 복잡한 감정, 인지, 행동을 가진 유기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고객의 자기 실현을 할 수 있도록 고객의 전인적 성장을 향해 지속적으로 파트너십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오늘 변화 행동이 나타나지 않았을지라도 코칭을 통해 문제 인식을 한 관심단계에 있는 고객이라면 어느날 행동을 시도할 가능성을 높인 것이다. 그러기에 코칭 대화는 단편적인 목표달성을 넘어 고객의 자기실현 경향성에 따라 변화단계의 연속선 상에 있다는 것을 바탕으로 전인적 성장인 성숙을 향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향해가야 한다.
# 성찰 질문
1) 표면적인 행동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코칭의 효과는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요?
2) 성취와 성과에 집중한 코칭과 고객의 진정한 성장인 ‘성숙’을 제공하는 코칭은 어떻게 다를까요?
- 이전글코칭의 마무리에 고객의 진전과 성공 축하하기-정승연 25.02.17
- 다음글No one wins alone (혼자 이기는 사람은 없다)-이동우 25.02.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